1. state 사용 - 2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을때, 여기서 를 주목해보자. 이 코드가 나타내는 바는 미리 만들어 놓은 TOC 컴포넌트를 반환해주게 된다. 이 부분은 web 상에서 봤을 때, 글 목록을 보여주게 된다. 그렇다면 여기서 TOC 안에 있는 데이터로 App의 내부 state를 TOC에 주입해주는 것을 통해서 자동으로 데이터를 바꿔주고 싶다면 어떻게 하면될까? 쉽게 말해서 새로운 글 목록이 추가될 때마다, TOC를 열어서 수정하지 않고 바로 수정하는 것이다. 이를 위한 첫번째 단계로 contents라는 state를 만들어주었다. 데이터가 여러개이기 때문에 [] (대괄호)를 통해서 배열을 만들었다. 그리고 3가지 객체의 배열을 만들었다. 각각 id 값, title 값, desc 값을 갖는다. ..